devonnuri.wiki

캐넌볼 애덜리

입력 2025-04-06 10:37:09

수정 2025-04-06 10:37:09

줄리안 에드윈 “캐넌볼” 애덜리(Julian Edwin “Cannonball” Adderley, 1928년 9월 15일 ~ 1975년 8월 8일)는 1950~60년대 하드 밥 시대를 대표하는 미국의 재즈 알토 색소폰 연주자이다.

그는 일반 대중에게는 1966년 소울 재즈 싱글 ‘Mercy, Mercy, Mercy’로 가장 잘 알려져 있다. 이 곡은 그의 키보디스트 조 자비눌Joe Zawinul이 그를 위해 작곡한 것으로, 팝과 R&B 차트에서 크게 히트하며 장르를 넘는 성공을 거두었다. 가사 버전은 더 버킹엄스The Buckinghams가 커버해 차트 5위까지 올랐다. 캐넌볼은 마일스 데이비스와 함께 활동했으며, 처음에는 데이비스의 섹스텟 멤버로서 Milestones(1958), Kind of Blue(1959) 같은 중요한 앨범에 참여했고, 이후 자신의 앨범 Somethin’ Else(1958)에도 데이비스가 함께했다. 그는 트럼펫 연주자인 냇 애덜리Nat Adderley의 형으로, 냇는 오랫동안 그의 밴드에서 활동했다.

초기 생애와 경력

줄리안 에드윈 애덜리는 1928년 9월 15일 플로리다주 탬파에서 태어났다. 아버지 줄리안 칼라일 애덜리는 고등학교 진학상담 교사이자 코넷 연주자였고, 어머니 제시 존슨은 초등학교 교사였다. 초등학교 시절 그는 식욕이 왕성하다는 이유로 친구들에게 육식 동물이란 뜻의 ‘캐니벌cannibal‘과 발음이 비슷한 ‘캐넌볼cannonball‘이라는 별명을 얻었다. 그는 초등학교 시절부터 음악을 배우기 시작했다. 원래는 테너 색소폰을 연주하고 싶어했으나, 제2차 세계대전 전후의 경제적 어려움 때문에 중고 알토 색소폰으로 시작하게 되었다.

그의 가족은 플로리다 A&M 대학교에서 교직을 얻게 되어 탤러해시로 이주했다. 캐넌볼과 냇 형제는 1940년대 초반 탤러해시에 살던 레이 찰스와 함께 연주하기도 했다. 그는 플로리다 A&M 대학교에서 음악을 전공한 뒤, 1948년 브로워드 카운티로 이주해 포트로더데일의 딜라드 고등학교에서 밴드 디렉터로 일했다. 이 직책은 1950년까지 이어졌다.

1950년 한국 전쟁 시기 미국 육군에 징집되어 36사단 댄스 밴드의 리더로 복무했다. 1955년 그는 플로리다를 떠나 뉴욕시로 이주했다. 당시 그의 주소 중 하나는 퀸스의 코로나 지역이었다. 원래 뉴욕의 음악 대학원에서 공부하려 했으나, 어느 날 색소폰을 가지고 카페 보헤미아(Café Bohemia)를 찾았고, 연주자 제롬 리처드슨이 늦는 바람에 오스카 페티포드 밴드와 즉흥적으로 연주하게 되었다. 그날의 연주는 뉴욕 재즈계에 그의 이름을 널리 알리는 계기가 되었고, 그는 찰리 파커의 후계자로 주목받게 되었다. 그러나 실제로 그의 주된 알토 색소폰 영향은 베니 카터였다.

마일스 데이비스와의 만남

1955년, 캐넌볼은 동생 냇과 함께 사보이(Savoy) 레이블과 계약하며 퀸텟을 결성했다. 이후 EmArcy와 머큐리 레이블에서도 음반을 냈다. 당시에는 큰 성공을 거두지 못했으나, 그들의 공연은 아트 블레이키, 마일스 데이비스 같은 일류 재즈 음악가들의 주목을 받았다. 마일스는 캐넌볼의 블루스 기반 알토 사운드에 감명을 받아 그를 자신의 밴드에 초대했고, 1957년 10월부터 캐넌볼은 데이비스 밴드의 일원이 되어 세 달 후 존 콜트레인이 복귀하기 전까지 활동했다. 이 시기에 애덜리는 데이비스, 아트 블레이키, 행크 존스와 함께 자신의 이름으로 앨범 Somethin’ Else를 녹음했다. 이후 데이비스의 대표작 MilestonesKind of Blue에도 참여했다. 당시 데이비스 밴드에는 피아니스트 빌 에반스도 있었고, 에반스는 이후 Portrait of Cannonball(1958)과 Know What I Mean?(1962) 등의 앨범에 함께했다. 이 시기 캐넌볼은 길 에반스, 빌 루소의 오케스트라에서도 활동했다.

1959년 데이비스 밴드를 떠난 후, 애덜리 형제는 두 번째 퀸텟을 결성했다. 이들은 리버사이드와 계약했지만 캐넌볼은 EmArcy, 머큐리에서도 작업을 병행했다. 1960년 리버사이드에서는 레이 브라운, 웨스 몽고메리와 함께한 _Cannonball Adderley & the Poll-Winners_가 발매되었고, 1961년에는 어린이를 위한 앨범 _A Child’s Introduction to Jazz_도 나왔다. 1962년 _Know What I Mean?_에서는 빌 에번스, 베이시스트 퍼시 히스, 드러머 코니 케이와 함께했으며, 같은 시기 조 자비눌(피아노), 샘 존스(베이스), 루이스 헤이스(드럼)로 구성된 퀸텟이 보컬리스트 낸시 윌슨과 함께 _Nancy Wilson & Cannonball Adderley_를 발표했다.

그는 이전에 사라 본, 다이나 워싱턴과도 함께 연주한 경험이 있었다. 1963년, 그는 Cannonball’s Bossa Nova를 발표하며 도미 움 호마우, 파울로 모우라, 세르지오 멘데스 등 브라질 음악계 거장들과 함께 ‘보사 리오 섹스텟Bossa Rio Sextet‘을 이끌었다. 이 시기 만능 연주자 유세프 라티프도 밴드에 합류해 퀸텟은 섹스텟으로 확장되었다. 이들은 1962~63년 라이브 녹음을 진행했으나, 대부분의 음원은 1980년대 중반이 되어서야 공개되었다. 당시 음반으로는 Lugano 1963, A Day with Cannonball Adderley 1963 등이 있다.

밴드 리더로서의 활동

캐넌볼 애덜리 퀸텟은 캐넌볼이 알토 색소폰을, 냇이 코넷을 연주하는 구성이다. 첫 번째 퀸텟은 큰 성공을 거두지 못했지만, 데이비스 밴드를 떠난 후 다시 냇와 함께 새로운 퀸텟을 조직했다. 이 그룹은 이후 섹스텟으로 확대되었으며, 그 외 여러 구성의 그룹을 통해 찰스 로이드, 유세프 라티프 같은 색소폰 연주자, 바비 티몬스, 배리 해리스, 빅터 펠드먼, 조 자비눌, 할 갤퍼, 마이클 울프, 조지 듀크 같은 피아니스트, 레이 브라운, 샘 존스, 월터 부커, 빅터 개스킨 등의 베이시스트, 루이스 헤이스와 로이 맥커디 같은 드러머들과 협연했다.

말년

1960년대 후반, 캐넌볼의 연주는 전기 재즈의 영향을 반영하기 시작했다. 이 시기에 Accent on Africa(1968), The Price You Got to Pay to Be Free(1970) 같은 앨범을 발표했다. 같은 해, 그의 퀸텟은 캘리포니아의 몬터레이 재즈 페스티벌에 출연했고, 이 공연 장면은 클린트 이스트우드 주연의 심리 스릴러 영화 Play Misty for Me(1971)에 짧게 등장했다. 1975년에는 TV 시리즈 『쿵푸 시즌 3』의 “Battle Hymn” 에피소드에 호세 펠리시아노, 데이비드 캐러딘과 함께 배우로 출연했다.

그와 그의 밴드를 대표하는 곡으로는 바비 티몬스가 작곡한 “This Here”, 냇 애덜리 작곡의 “Work Song”, 자비눌 작곡의 “Mercy, Mercy, Mercy”와 “Walk Tall”, 캐넌볼 작곡의 “Sack o’ Woe” 등이 있다. Pops Staples의 곡 “Why (Am I Treated So Bad)?”의 커버도 차트에 올랐다. “Sack o’ Woe”는 맨프레드 맨이 데뷔 앨범 The Five Faces of Manfred Mann에서 커버하기도 했다.

죽음과 유산

1975년 7월, 캐넌볼은 뇌출혈로 인한 뇌졸중을 겪었고, 8월 8일 인디애나주 게리의 세인트 메리 감리교 병원에서 사망했다. 향년 46세였다. 그의 유족으로는 아내 올라 제임스 애덜리, 부모 줄리안 칼라일과 제시 리 애덜리, 그리고 동생 냇 애덜리가 있었다. 그는 플로리다주 탤러해시의 사우스사이드 공동묘지에 안장되었다.

같은 해 그는 ‘다운비트 재즈 명예의 전당’에 헌액되었다. 조 자비눌은 Weather Report의 앨범 Black Market에 실린 곡 “Cannon Ball”을 통해 그를 추모했다. 페퍼 아담스와 조지 므라즈는 캐넌볼이 세상을 떠난 직후 발표한 앨범 Julian에서 타이틀곡으로 그에게 헌사를 바쳤다.

캐넌볼은 파이 뮤 알파 신포니아(Phi Mu Alpha Sinfonia) 음악 형제회(노스텍사스 대학교 감마 세타 지부 ‘60년, 프로스트버그 주립대학교 시 오메가 지부 ‘70년), 알파 파이 알파(플로리다 A&M 대학교 베타 누 지부)의 명예 회원으로 가입되었다.

참고 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