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vonnuri.wiki

존재와 시간

입력 2024-08-14 16:38:57

수정 2024-08-14 16:38:57

상위 항목 : 철학

(작성중)

TOC

  1. 존재의 의미에 대한 물음과 현존재 분석
    1. 존재의 의미에 대한 물음을 분명하게 다시 제기해야 할 필요성
    2. 존재물음을 위한 실마리로서의 현존재 분석
  2. 현존재의 예비적 기초 분석
    1. 현존재의 본질로서의 실존
    2. 세계-내-존재로서의 인간
      1. 세계-내-존재의 의미
      2. 세계의 세계성
    3. 세계-내-존재의 방식으로 존재하는 존재자에 대한 분석 — 일상적인 현존재에 대한 분석
      1. 일상적인 공동존재에 대한 분석
      2. 격차성과 세상 사람
      3. 세론과 일상적 현존재의 무책임성
    4. 내-존재에 대한 분석
      1. 심정성
      2. 이해
      3. 말(Rede)
      4. 퇴락(頹落)으로서의 일상적 존재
      5. 퇴락과 내던져져 있음
    5. 현존재의 존재로서의 마음씀
      1. 불안과 현존재의 구조 전체의 근원적 전체성에 대한 물음
      2. 퇴락과 불안
      3. 불안이 불안해하는 것은 내던져진 세계-내-존재 자체이다
      4. 불안이 불안해하는 이유는 세계-내-존재-가능성 때문이다
      5. 현존재의 단독자화와 불안
      6. 섬뜩한 기분으로서의 불안
      7. 마음씀으로서의 현존재의 존재
  3. 현존재의 시간성
    1. 현존재의 가능한 전체 존재와 '죽음을 향한 존재'
      1. 현존재의 전체 존재를 존재론적으로 포착하고 규정하는 것은 외견상으로는 불가능하다
      2. 다른 사람의 죽음을 경험할 가능성과 전체적 현존재의 포착 가능성
      3. '죽음을 향한 존재'로서의 현존재
      4. 죽음의 실존론적 존재론적 구조의 소묘
    2. 죽음을 향한 본래적 존재로서의 죽음으로의 선구
    3. 양심과 결의성
      1. 본래적 실존적 가능성을 증언하는 문제
      2. 양심의 실존론적-존재론적 기초
      3. 마음씀의 부름으로서의 양심
      4. 불러냄의 이해와 책임
      5. 도덕적 책임을 비롯한 모든 현실적인 책임 있음의 실존론적 근거로서의 근원적인 책임 있음
      6. '양심을 가지려는 의지'로서의 '양심의 불러냄을 이해함'
      7. '가장 고유한 책임 존재를 향해 침묵 속에서 불안을 인수하는 기투'로서의 결의성
      8. 선구적 결의성
    4. 마음씀의 존재론적 의미로서의 시간성
      1. 장래
      2. '기재(旣在, Gewesen)'
      3. 현재
      4. 마음씀의 근원적 통일로서의 시간성
    5. 시간성과 일상성
      1. 본래적 장래와 비본래적 장래 — 죽음으로의 선구와 예기
      2. 비본래적 현재와 본래적 현재 — 현전화와 순간
      3. 비본래적인 기재와 본래적 기재 — 망각과 반복
      4. 근원적인 시간과 파생적인 시간
    6. 시간성과 역사성
      1. 역사문제의 실존론적-존재론적 제시
      2. 역사성의 근본구조
    7. 시간성과 세계시간
      1. 비본래적 시간성과 시간에 관한 진술
      2. 자신을 위한 시간을 상실하는 것으로서의 비본래적 실존
      3. 공공적 시간의 발생
      4. 세계시간으로서의 공공적 시간
    8. 통속적 시간
      1. 시간계산과 시계사용의 발생
      2. '지금들의 연속'으로서의 시간, 즉 통속적 시간의 발생
      3. 통속적 시간이해를 규정하는 존재이해 — 존재를 '눈앞의 존재'와 동일시하는 이해
      4. 시간은 무한하다는 테제의 발생
      5. 시간의 유한성의 망각으로서의 통속적 시간해석
      6. 통속적 시간이해와 근원적 시간으로서의 시간성
  4. 참고문헌

존재의 의미에 대한 물음과 현존재 분석

존재의 의미에 대한 물음을 분명하게 다시 제기해야 할 필요성

  • 존재물음 : 존재 일반의 의미에 대한 물음 = '존재한다'는 말이 무엇을 의미하는가에 대한 물음

  • 존재의 의미를 '눈앞에 있음(Vorhandensein)'으로 보는 것은 눈앞의 사물들만이 갖는 특정한 존재방식을 존재 전체와 동일시하는 우를 범하는 것.

  • 존재의 방식

    1. 눈앞에 있음(Vorhandensein) : 눈앞의 사물의 존재방식
    2. 도구적인 존재(Zuhandensein) : 도구의 존재방식
    3. 실존(Existenz) : 인간의 존재방식
  • 존재물음에 대한 분명한 답뿐만 아니라 이를 제기할 수 있는 방식마저 불분명

    ⇒ 존재물음을 올바르게 제기하는 것이 필요하다.

존재물음을 위한 실마리로서의 현존재 분석

  • 존재물음을 올바르게 제기하기 전 존재물음이 갖는 구조계기를 분석해야 한다. 이를 위해선 인간의 존재방식에 대한 분석이 필요하다.

  • 존재물음의 형식적 구조

    1. 물어지는 것(das Gefragte) : 존재

    2. 궁극적으로 밝혀져야 하는 것(das Erfragte) : 존재의 의미

    3. 물음이 걸리는 존재자(das Befragte)

      존재물음에서 물음이 걸리는 것은 존재자 자신이다. 존재자에 조회해서 그것의 존재가 물어지는 것이다.

    • 정리하자면, das Gefragte에게 "'das Befragte가 존재한다'는 것은 어떤 의미(=das Erfragte)야?"라고 묻는 것이 존재물음인 것이다.
  • 인간 이외의 동물은 본능에 따라서 존재자들과 관계할 뿐, 존재이해를 갖고 있지 않다.

    • 동물들에게 물은 단순히 갈증을 덜어주는 것으로 나타나고 태양은 온기를 주는 것으로 나타날 뿐이며, 물과 태양이 독자적인 존재를 갖고 있다는 사실을 알지 못한다.
  • 이에 반해서 인간은 물과 태양이 우리의 본능적인 욕망을 충족시키기 위해서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독자적인 존재방식을 갖는다는 사실을 알고 있다.

현존재의 예비적 기초 분석

현존재의 본질로서의 실존

세계-내-존재로서의 인간

세계-내-존재의 의미

세계의 세계성

세계-내-존재의 방식으로 존재하는 존재자에 대한 분석 — 일상적인 현존재에 대한 분석

일상적인 공동존재에 대한 분석

격차성과 세상 사람

세론과 일상적 현존재의 무책임성

내-존재에 대한 분석

심정성

이해

말(Rede)

퇴락(頹落)으로서의 일상적 존재

퇴락과 내던져져 있음

현존재의 존재로서의 마음씀

불안과 현존재의 구조 전체의 근원적 전체성에 대한 물음

퇴락과 불안

불안이 불안해하는 것은 내던져진 세계-내-존재 자체이다

불안이 불안해하는 이유는 세계-내-존재-가능성 때문이다

현존재의 단독자화와 불안

섬뜩한 기분으로서의 불안

마음씀으로서의 현존재의 존재

현존재의 시간성

현존재의 가능한 전체 존재와 '죽음을 향한 존재'

현존재의 전체 존재를 존재론적으로 포착하고 규정하는 것은 외견상으로는 불가능하다

다른 사람의 죽음을 경험할 가능성과 전체적 현존재의 포착 가능성

'죽음을 향한 존재'로서의 현존재

죽음의 실존론적 존재론적 구조의 소묘

죽음을 향한 본래적 존재로서의 죽음으로의 선구

양심과 결의성

본래적 실존적 가능성을 증언하는 문제

양심의 실존론적-존재론적 기초

마음씀의 부름으로서의 양심

불러냄의 이해와 책임

도덕적 책임을 비롯한 모든 현실적인 책임 있음의 실존론적 근거로서의 근원적인 책임 있음

'양심을 가지려는 의지'로서의 '양심의 불러냄을 이해함'

'가장 고유한 책임 존재를 향해 침묵 속에서 불안을 인수하는 기투'로서의 결의성

선구적 결의성

마음씀의 존재론적 의미로서의 시간성

장래

'기재(旣在, Gewesen)'

현재

마음씀의 근원적 통일로서의 시간성

시간성과 일상성

본래적 장래와 비본래적 장래 — 죽음으로의 선구와 예기

비본래적 현재와 본래적 현재 — 현전화와 순간

비본래적인 기재와 본래적 기재 — 망각과 반복

근원적인 시간과 파생적인 시간

시간성과 역사성

역사문제의 실존론적-존재론적 제시

역사성의 근본구조

시간성과 세계시간

비본래적 시간성과 시간에 관한 진술

자신을 위한 시간을 상실하는 것으로서의 비본래적 실존

공공적 시간의 발생

세계시간으로서의 공공적 시간

통속적 시간

시간계산과 시계사용의 발생

'지금들의 연속'으로서의 시간, 즉 통속적 시간의 발생

통속적 시간이해를 규정하는 존재이해 — 존재를 '눈앞의 존재'와 동일시하는 이해

시간은 무한하다는 테제의 발생

시간의 유한성의 망각으로서의 통속적 시간해석

통속적 시간이해와 근원적 시간으로서의 시간성

참고문헌

  1. 박찬국, 『하이데거의 「존재의 시간」 읽기』, 세창미디어, 20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