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vonnuri.wiki

존재와 무

입력 2025-01-20 15:33:10

수정 2025-01-20 15:33:10

상위 항목 : 철학

독서노트

TOC

  1. 서론 - 존재의 탐구
      1. 현상 개념
      2. 존재의 현상과 현상의 존재
      3. “전(前) 반성적” 코기토와 “지각함”의 존재
      4. “지각된 것”의 존재
      5. 존재론적 증명
      6. 즉자존재
  2. 제1부 - 무의 문제
    1. 제1장 - 부정의 기원
      1. 질문
      2. 부정(否定)
      3. 무에 대한 변증법적인 사고방식
      4. 무에 대한 현상학적 사고방식
      5. 무의 기원
    2. 제2장 - 자기기만
      1. 자기기만과 거짓
      2. 자기기만 행동
      3. 자기기만의 “신앙”
  3. 제2부 - 대자존재
    1. 제1장 - 대자의 직접적 구조
      1. 자기에의 현전
      2. 대자의 사실성
      3. 대자와 가치의 존재
      4. 대자와 가능들의 존재
      5. 자아와 자기성의 회로
    2. 제2장 - 시간성
      1. 시간적인 삼차원의 현상학
      2. 시간성의 존재론
      3. 근원적 시간성과 심적 시간성: 반성
    3. 제3장 - 초월
      1. 대자와 즉자 사이의 전형적 관계로서의 인식
      2. 부정으로서의 규정에 대하여
      3. 성질과 양, 잠재성, 도구성
      4. 세계의 시간
  4. 제3부 - 대타존재
    1. 제1장 - 타자의 존재
      1. 문제
      2. 유아론의 암초
      3. 후설, 헤겔, 하이데거
      4. 시선
    2. 제2장 - 신체
      1. 대자존재로서의 신체: 사실성
      2. 대타 신체
      3. 신체의 제3의 존재론적 차원
    3. 제3장 - 타자와의 구체적인 관계
      1. 타자에 대한 첫 번째 태도: 사랑, 언어, 마조히즘
      2. 타자에 대한 두 번째 태도: 무관심, 욕망, 증오 ,사디즘
      3. ‘함께-있는-존재(Mitsein)’와 ‘우리’
  5. 제4부 - 가짐, 함 그리고 있음
    1. 제1장 - 있음과 함: 자유
      1. 행동의 제1조건은 자유이다
      2. 자유와 사실성: 상황
      3. 자유와 책임
    2. 제2장 - 함과 가짐
      1. 실존적 정신분석
      2. 함과 가짐: 소유
      3. 존재를 계시하는 것으로서의 성질에 대하여
    3. 결론
      1. 즉자와 대자: 형이상학적 개관
      2. 도덕적 전망
  6. 참고문헌

서론 - 존재의 탐구

현상 개념

  • 외현(apparence)과 본질의 이원론 부정

    ⇒ 외현 = 본질

존재의 현상과 현상의 존재

“전(前) 반성적” 코기토와 “지각함”의 존재

“지각된 것”의 존재

존재론적 증명

즉자존재

제1부 - 무의 문제

제1장 - 부정의 기원

질문

부정(否定)

무에 대한 변증법적인 사고방식

무에 대한 현상학적 사고방식

무의 기원

제2장 - 자기기만

자기기만과 거짓

자기기만 행동

자기기만의 “신앙”

제2부 - 대자존재

제1장 - 대자의 직접적 구조

자기에의 현전

대자의 사실성

대자와 가치의 존재

대자와 가능들의 존재

자아와 자기성의 회로

제2장 - 시간성

시간적인 삼차원의 현상학

시간성의 존재론

근원적 시간성과 심적 시간성: 반성

제3장 - 초월

대자와 즉자 사이의 전형적 관계로서의 인식

부정으로서의 규정에 대하여

성질과 양, 잠재성, 도구성

세계의 시간

제3부 - 대타존재

제1장 - 타자의 존재

문제

유아론의 암초

후설, 헤겔, 하이데거

시선

제2장 - 신체

대자존재로서의 신체: 사실성

대타 신체

신체의 제3의 존재론적 차원

제3장 - 타자와의 구체적인 관계

타자에 대한 첫 번째 태도: 사랑, 언어, 마조히즘

타자에 대한 두 번째 태도: 무관심, 욕망, 증오 ,사디즘

‘함께-있는-존재(Mitsein)’와 ‘우리’

제4부 - 가짐, 함 그리고 있음

제1장 - 있음과 함: 자유

행동의 제1조건은 자유이다

자유와 사실성: 상황

자유와 책임

제2장 - 함과 가짐

실존적 정신분석

함과 가짐: 소유

존재를 계시하는 것으로서의 성질에 대하여

결론

즉자와 대자: 형이상학적 개관

도덕적 전망

참고문헌

  1. 장폴 사르트르, 『존재와 무』, 변광배 옮김, 세창미디어, 2013.